본문 바로가기

도시

미국 뉴욕 하이라인 파크, 버려진 공간의 재탄생

 

  도시는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한다. 낙후된 공간이나 활용되지 않는 시설들이 방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 파크(High Line Park) 는 이러한 문제를 혁신적인 방식으로 해결한 대표적인 도시재생 사례다.

 

 

  하이라인 파크는 한때 버려진 고가 철도(High Line) 를 공원으로 재탄생시킨 공간이다. 도시재생을 통해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고, 관광 명소로 탈바꿈시킨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친환경적 접근과 창의적인 공간 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번 글에서는 ① 하이라인 파크의 역사와 도시재생 과정, ② 공원의 조성과 주요 특징, ③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영향, ④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모델로서의 의미 등을 살펴본다.

 


1. 하이라인 파크의 역사와 도시재생 과정

① 버려진 철도에서 도시재생의 아이콘이 되기까지

  하이라인 파크가 조성되기 전, 이곳은 화물 열차가 다니던 고가 철로였다.

  • 1930년대 뉴욕 맨해튼 서부 지역(미트패킹 디스트릭트, 첼시 지역)에서는 철도를 통해 농산물과 육류를 수송하는 시스템이 필요했다.
  • 이에 따라, 지상 철도의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높이 약 9m의 고가 철로(High Line) 가 건설되었다.
  • 한때 활발히 운영되던 이 철도는 1950~60년대 이후 도로 수송의 증가로 점차 이용이 줄어들었고, 결국 1980년대 들어 운행이 완전히 중단되었다.
  • 이후 수십 년 동안 방치되며 녹슬고 잡초가 무성한 폐허로 변해버렸다.

② 철거 vs 재생 –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시작

  뉴욕시는 1990년대 후반, 이 고가 철로를 철거하고 재개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 주민과 도시 계획 전문가들은 이 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1999년, 지역 주민과 활동가들이 "프렌즈 오브 하이라인(Friends of the High Line)" 이라는 시민 단체를 조직하여 철로를 공원으로 변환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 뉴욕시 정부는 초기에는 철거를 고려했지만,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공공·민간 협력 모델을 통해 재생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버려진 공간을 도시재생의 기회로 바꿀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2. 하이라인 파크의 조성과 주요 특징

① 공원의 설계 및 조성 과정

  하이라인 파크는 녹지 공간이 아니라, 기존의 철도 구조를 살리면서도 자연을 결합한 독창적인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 3단계에 걸친 개발 과정
    • 2009년 1단계(가난한 예술가들이 거주하던 첼시 지역) 개장
    • 2011년 2단계(고급 아파트와 갤러리가 있는 구역) 확장
    • 2014년 3단계(허드슨 야드와 연결) 완공

② 주요 디자인 요소

  1. 기존 철도를 유지한 채 자연과 결합
    • 철도를 철거하지 않고, 일부 선로를 그대로 남겨두어 공원의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함.
    • 녹슬고 오래된 철도 위에 새로운 식물을 심어, 자연과 산업 구조물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을 연출함.
  2. 보행 친화적인 공간 조성
    • 뉴욕 맨해튼 도심 위를 가로지르는 2.3km의 공중 산책로 조성.
    • 기존 철로를 넓혀 벤치, 산책로, 전망대, 공공 예술 공간 등을 조성함.
  3. 친환경적인 설계
    • 빗물을 활용한 자동 관개 시스템 도입.
    • 철도 잔해를 재활용하여 공원의 구조물로 활용.
    • 친환경 재료 사용 및 에너지 절약형 조명 설치.

이러한 디자인적 요소 덕분에, 하이라인 파크는 기존의 도시 인프라를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재활용한 모범 사례가 되었다.

 


3. 하이라인 파크의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영향

① 경제적 영향 – 지역 경제 활성화

  • 하이라인 파크가 조성된 이후, 인근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며 지역 경제가 크게 활성화되었다.
  • 공원 주변으로 고급 레스토랑, 갤러리, 부티크 호텔, 오피스 빌딩 등이 들어서며 새로운 비즈니스 허브가 형성됨.
  • 뉴욕시 발표에 따르면, 하이라인 파크 조성 이후 약 2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평가됨.

② 사회적 영향 – 도시재생과 커뮤니티 활성화

  • 공원이 조성되면서 지역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도심 속 휴식 공간이 마련됨.
  • 뉴욕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방문하는 산책로이자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음.
  • 각종 야외 공연, 예술 전시, 커뮤니티 이벤트가 열리면서 지역 사회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함.

③ 환경적 영향 –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모델

  • 버려진 철도를 친환경 공원으로 변환하면서 녹지 공간 확대
  • 기존 철로를 재활용하면서 건축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
  • 빗물 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도시 내 홍수 문제 완화

하이라인 파크는 도시재생, 경제적 성장, 친환경 개발을 동시에 실현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4.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모델로서의 의미

하이라인 파크는 세계 여러 도시에서 벤치마킹하는 도시재생 모델이 되었다.

  • 서울 서울로 7017: 하이라인 파크를 참고하여 폐쇄된 고가 도로를 공원으로 전환.
  • 파리 쥬앙빌 고가 산책로: 폐쇄된 철도를 녹지 공원으로 개조.

하이라인 파크가 주는 교훈

  1.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도시재생은 경제적·환경적으로 효과적이다.
  2. 도시재생은 단순한 건축이 아니라, 지역 주민과의 협력이 중요하다.
  3. 녹지 공간을 확대하면 도시 환경이 개선되고, 지역 커뮤니티가 활성화된다.

 


하이라인 파크, 버려진 공간을 기회의 공간으로 바꾸다

  하이라인 파크는 도시 속 낙후된 공간을 혁신적인 방법으로 재활용하여 지역 경제와 환경을 동시에 살린 대표적인 도시재생 사례다. 이 프로젝트는 친환경 도시재생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도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앞으로도 세계 여러 도시에서 벤치마킹할 만한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모델로 남을 것이다.